• 충남대학교
  • 정보화본부
  • CNU With U
  • 도서관
  • 발전기금
  • 사이트맵
  • 웹하드
  • 번역이 완료되었습니다!

새소식

[논문게재] 임종철 교수님이 중앙대 강동원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공동 연구를 진행한 결과가 'Small'지에 게재되었습니다.
[논문게재] 임종철 교수님이 중앙대 강동원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공동 연구를 진행한 결과가 'Small'지에 게재되었습니다.
작성자 관리자
조회수 152 등록일 2025.04.08
이메일

- Lead-Free, Sn-based All-Perovskite Tandem Solar Cells with an Efficiency over 15% 

 - S. Yoon, J. Ryu, S. Cho, H. Kim, J. Lim,* J. Cho,* J. Park,*  D. Kang

 - Small, 2025, 2501876 (IF: 13.3) 

 - Early view, DOI: https://doi.org/10.1002/smll.202501876


 기존 페로브스카이트에 활용되는 납은 유독성 물질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합니다. 이에 납 대신 다른 대체 물질을 활용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들이 차세대 친환경 태양전지의 주목받고 있습니다. 본 논문에서는 주석을 이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(Tin-based perovskite solar cells, TPSC)에서 formamidinium (FA) 일부를dimethylammonium (DMA)로 치환해서 넓은 밴드갭 (Wide-band gap, WBG), 결정성 향상, 변형률 감소 및 필름 형태를 개선하였습니다. 이를 활용하여 제작한 반투명 소자 (Semi-transparent TSPCs, ST-TPSCs)는 10.37%의 전력변환효율 power conversion efficiency, PCE)를 기록했습니다. 이를 narrow-bandgap TPSCs 과 적층하여 4단자 lead-free perovskite tandem device를 제작했고 15.02%의 PCE를 얻었습니다. 해당 연구는 DMA 추가를 통해 할로겐 조성을 변화하지 않고 차세대 주석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탠덤 태양전지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.